2333년 단군왕검(檀君王儉) 고조선 건국.
2000년 후기 신석기문화 형성. 빗살무늬토기Ⅲ류. 회령 오동유적 제3˙4문화층 등 형성. 만주지역에서 부분적으로 청동기문화 시작.
1400년 부산 동삼동유적 5층 영도기 형성.
1300년 부산 금곡동조개더미유적, 김해 수가리조개더미 제3기 유적 등 형성.
1200년 동이(東夷)가 은(殷)의 회하(淮河)˙태산(泰山) 일대 진출.
1122년 은의 기자(箕子)가 조선에 들어옴.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년 민무늬토기인이 한반도 각지에 이주하여 농경문화를 이룩. 전기 청동기문화 형성.
850년 은령 남산근유적 형성.
800년 고조선의 수도를 왕검성에 정함. 이후 송화강(松花江) 유역에 부여(扶餘), 한반도 중남부에 진국(辰國) 성립. 봉산 신흥동주거지유적˙여주 흔암리주거지유적 형성.
700년 논산 신기리고인돌유적, 단양 안동리석관묘유적, 부여 송국리선사취락지유적, 제천 양평리유적(청동기주거지) 등 형성. 철기문화 시작.
600년 요령 정가와자유적, 파주 덕은리주거지유적, 회령 오동유적 등 형성.
500년 요령 윤가촌유적 하층 1기문화 형성. 강계 풍룡동분묘유적, 고흥 운대리지석묘유적, 광주 송암동주거지유적, 남제주 삼모리조개더미유적, 밀양 월산리고분군유적 등 형성.
450년 송화강 상류 일대에 부여(扶餘) 성립.
403년 진국(辰國) 성립.
400년 철기문화 들어옴. 진국의 이주민이 서부 일본에 진출.
350년 신평 선암리유적, 진양 대평리유적 형성.
310년 승주 오봉리고인돌유적, 제주 오라동지석묘 등 형성.
300년 중국의 연(燕)이 요동에 장성을 축성하여 기자조선(箕子朝鮮)과 국경을 삼음. 대동강 유역에 철기문화
널리 시작. 한문자(漢文字) 전래. 원3국시대 시작.
221년 진(秦)의 중국통일로 회하(淮河) 방면에서 동이(東夷)의 활동이 중단. 조선후(朝鮮侯) 조선 왕을 칭함.연(燕)의 진개(秦開)가 조선의 서방을 침공하여 2,000여 리를 강점.
214년 조선왕 부(否) 즉위. 진의 장성공사가 요동에 이름.
209년 조선의 준왕(準王)에게 연(燕)˙제(齊)의 수만 호(戶)가 피난옴.
203년 맥족(貊族)의 기병이 한(漢)을 도와 초(楚)를 공격.
202년 기자조선이 패수(浿水)를 한과의 경계로 삼음.
200년 해모수(解慕漱)설화˙금와(金蛙)설화 성립.
195년 기자조선에 요동의 위만(衛滿)이 망명해 옴. 준왕(準王)이 박사(博士)를 삼고 서계(西界)를 지키게 함.
194년 위만이 왕검성을 공략, 위만조선을 건국. 기자조선의 준왕이 남하하여 한왕(韓王)이 됨.
190년 위만왕이 진번(眞番)˙임둔(臨屯)을 복속시킴.
175년 함흥 이화동유적의 토광묘˙동검(銅劍)˙철기의 문화 형성.
149년 서홍 문무리유적의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관계형성.
128년 예군(濊君) 남려(南閭)가 호구(戶口) 28만을 데리고 한(漢)의 요동군에 귀부(歸附). 그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
126년 창해군 폐지.
125년 황주 금석리유적의 동기(銅器)˙철기˙목곽묘 문화의 형성.
108년 위씨조선(衛氏朝鮮) 멸망. 한(漢)의 고조(高祖) 조선을 침공, 위만의 고조선을 멸하고 낙랑(樂浪)˙임둔(臨屯)˙진번(眞番)˙현토(玄唾)의 4개군을 설치.
107년 금속문화 전래.
99년 와질토기 제작 시작.
82년 고구려족이 임둔˙진번군을 축출. 한이 낙랑군에 동부도위(東部都尉)˙남부도위를 설치.
75년 고구려족이 현토군을 공격하여 서북쪽으로 축출.
69년 신라에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
59년 해모수(解慕漱)가 북부여(北夫餘)를 건국.
58년 동부여(東夫餘)에서 주몽(朱蒙) 탄생.
57년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徐那伐)이라 칭함.
50년 신라, 왜구(倭寇)를 격퇴.
37년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京城)을 쌓고 금성(金城)이라 칭함.
28년 고구려, 부위염(扶尉..)˙북옥저를 병합.
27년 신라, 천일창(天日槍)이 왜땅으로 가고, 신라의 도공이 왜에 건너가서 신라식 도자기 제작.
19년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琉璃王) 즉위. 신라, 석탈해(昔脫解) 탄생.
18년 온조(溫祚)가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에 백제국(百濟國) 건국(~후660).
5년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기원 후]
--------------------------------------------------------------------------------
3년 고구려, 졸본(卒本)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년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즉위.
8년 백제, 마한(馬韓)을 멸하고 병합.
14년 고구려, 양맥(梁貊)을 멸하고, 한(漢)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여 척으로 왜구 격퇴.
15년 백제, 봄~여름에 대기근 발생.
18년 백제, 탕정성(湯井城)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축조. 고구려, 유리왕 죽고(?~), 대무신왕(大武神王) 즉위.
22년 고구려, 부여를 공격하여 대소왕(帶素王)을 죽임. 부여, 대소왕의 동생을 옹립하여 갈사국(曷思國)을 건국.
24년 신라, 남해차차웅 죽고(?~), 유리이사금(瑠璃尼師今) 즉위.
26년 고구려, 개마국(蓋馬國)을 멸함.
27년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년 백제, 온조왕 죽고(?~), 다루왕(多婁王) 즉위.
37년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2년 변진구야(弁辰狗耶)의 9간(九干)이 수로(首露)를 추대하여 금관가야(金官伽倻)를 건국. 신라, 이서국(伊西國)을 병합.
44년 고구려, 대무신왕 죽고(4~), 민중왕(閔中王) 즉위(?~48).
48년 고구려, 민중왕 죽고(?~), 모본왕(慕本王) 즉위(?~53).
49년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53년 고구려, 모본왕이 살해되고(?~), 태조왕(太祖王)이 즉위(~145).
57년 신라, 유리이사금 죽고(?~), 탈해이사금 즉위.
65년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년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백제, 다루왕 죽고(?~), 기루왕(己婁王) 즉위(?~128).
80년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년 고구려, 한의 요동 6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08년 신라, 비지국(比只國)˙초인국(草人國)˙다벌국(多伐國)을 병합.
111년 고구려, 예맥과 함께 현도를 공격.
112년 신라, 파사이사금 죽고(?~),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 즉위(?~134).
128년 백제, 기루왕 죽고(?~), 개루왕(蓋婁王) 즉위(?~165).
132년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34년 신라, 지마이사금 죽고(?~),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즉위(~154).
146년 고구려, 태조왕이 아우 차대왕(次大王)에게 선위(禪位).
154년 신라, 일성이사금 죽고(?~),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 즉위(~184).
166년 백제, 개루왕 죽고(?~), 초고왕(肖古王) 즉위(~214).
179년 고구려, 신대왕 죽고(?~), 고국천왕(故國川王) 즉위(~197).
184년 신라, 아달라이사금 죽고(?~),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 즉위(~196).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196년 신라, 벌휴이사금 죽고(?~),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즉위(~230).
197년 고구려, 고국천왕 죽고(?~), 산상왕(山上王) 즉위(~227).
199년 가야, 수로왕 죽고(42~), 거등왕(居登王) 즉위(~253).
209년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14년 백제, 초고왕 죽고(?~), 구수왕(仇首王) 즉위(~234).
227년 고구려, 산상왕 죽고(?~), 동천왕(東川王) 즉위(~234).
230년 신라, 내해이사금 죽고(?~),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즉위(~247)
234년 백제, 구수왕 죽고(?~), 사반왕(沙伴王)이 즉위하였다가 폐위되고 고이왕(古爾王)이 즉위(~286).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247년 신라, 조분이사금 죽고(?~), 첨해이사금(沾解尼師今) 즉위(~262).
248년 고구려, 동천왕 죽고(209~), 중천왕 즉위(~270).
261년 신라, 첨해이사금 죽고(?~), 미추이사금(味鄒尼師今) 즉위(~284).
270년 고구려, 중천왕 죽고(224~), 서천왕(西川王) 즉위(~292).
284년 신라, 미추이사금 죽고(?~),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즉위(~298).
286년 백제, 고이왕 죽고(?~), 책계왕(責稽王) 즉위(~298).
292년 고구려, 서천왕 죽고(?~), 봉상왕(烽上王) 즉위(~300).
298년 백제, 책계왕 죽고(?~), 분서왕(汾西王) 즉위(~304). 신라, 유례이사금 죽고(?~),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즉위.
300년 고구려, 봉상왕을 폐하고 미천왕(美川王)을 세움. 봉상왕 자살(?~).
307년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10년 신라, 기림이사금 죽고(?~),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즉위(~356).
331년 고구려, 미천왕 죽고(?~), 고국원왕(故國原王) 즉위(~371).
342년 고구려, 전연(前燕)의 모용황이 침공, 환도성 함락.
344년 백제 비류왕 죽고(?~), 계왕(契王) 즉위(~346).
346년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56년 신라, 흘해이사금 죽고(?~), 내물마립간(柰勿麻立干) 즉위(~402).
371년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근초고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75년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84년 백제, 근구수왕 죽고(?~), 침류왕(枕流王) 즉위(~385).
385년 백제, 침류왕 죽고(?~), 진사왕(辰斯王) 즉위(~392).
391년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392년 백제, 진사왕 죽고(?~), 아신왕(阿辛王) 즉위(~405). 400년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02년 신라, 내물마립간 죽고(?~), 실성마립간(實聖麻立干) 즉위(~417).
405년 백제, 아신왕 죽고(?~), 전지왕 즉위(~420). 407년 가야, 이시품왕 죽고(?~), 좌지왕(坐知王) 즉위(~421).
413년 고구려, 광개토왕 죽고(374~), 장수왕(長壽王) 즉위(~492).
414년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17년 신라, 눌지(訥祗)가 실성마립간을 죽이고(?~) 즉위(~458).
420년 백제, 전지왕 죽고(?~), 구이신왕(久爾辛王) 즉위(~427).
427년 백제, 구이신왕 죽고(?~), 비유왕(毗有王) 즉위(~455).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55년 백제, 비유왕 죽고(?~), 개로왕(蓋鹵王) 즉위(~475).
458년 신라, 눌지마립간 죽고(?~),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즉위(~479). 고구려의 묵호자(墨胡子)가 불교 전파.
475년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77년 백제, 해구(解仇)가 문주왕을 살해(?~), 삼근왕(三斤王) 즉위(~479).
479년 자비마립간 죽고(?~), 소지마립간(炤知麻立干) 즉위(~500). 백제, 삼근왕 죽고(?~), 동성왕(東城王) 즉위(~501).
491년 고구려, 장수왕 죽음(394~).
492년 고구려, 문자명왕(文咨明王) 즉위(~514)..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0년 신라, 소지마립간 죽고(?~), 지증왕(智證王) 즉위(~514).
501년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년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년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14년 신라, 아시촌(阿尸村)에 소경(小京) 설치.
519년 고구려, 문자명왕 죽고(?~), 안장왕(安藏王) 즉위(~531).
520년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1년 가야, 겸지왕 죽고(?~), 구형왕(仇衡王) 즉위(~532).
523년 백제, 무령왕 죽고(462~), 성왕(聖王) 즉위(~554).
527년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1년 고구려, 안장왕 죽고(?~), 안원왕(安原王) 즉위(~545).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년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년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40년 신라, 법흥왕 죽고(?~), 진흥왕(眞興王) 즉위(~576).
545년 고구려, 안원왕 죽고(?~), 양원왕(陽原王) 즉위(~559).
551년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2년 백제, 불상과 경론(經論)을 왜에 보냄.
553년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4년 백제, 성왕 죽고(?~), 위덕왕(威德王) 즉위(~598).
555년 신라왕,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59년 고구려, 양원왕 죽고(?~), 평원왕 즉위(~590).
561년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년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568년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76년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진흥왕 죽고(534~), 진지왕(眞智王) 즉위(~579).
579년 신라, 진지왕 죽고(?~), 진평왕(眞平王) 즉위(~584).
584년 신라, 건복(建福)으로 개원(改元).
586년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0년 고구려, 평원왕 죽고(?~), 영양왕 즉위(~618).
598년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백제, 위덕왕 죽고(525~). 혜왕(惠王) 즉위(~599).
599년 백제, 혜왕 죽고(?~), 법왕(法王) 즉위(~600).
600년 백제, 법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641).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金銅彌勒半跏像) 만듦.
602년 백제, 승려 관근(觀勤)이 왜에 천문˙지리˙역서˙방술서 등을 전함.
612년 수나라의 제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년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2차 공격).
618년 고구려, 영양왕 죽고(?~), 영류왕(榮留王) 즉위(~642).
632년 신라, 진평왕 죽고(?~), 선덕여왕(善德女王) 즉위(~647).
634년 신라, 인평(仁平)으로 개원(改元).
641년 백제, 무왕 죽고(?~), 의자왕(義慈王) 즉위(~660).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선덕여왕 죽고(?~), 진덕여왕(眞德女王) 즉위(~654).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654년 신라, 진덕여왕 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즉위(~661).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668년 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劍茅岑)이 한성에서 안승(安勝)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白水城)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3년 신라, 김유신 죽음(575~). 당군이 고구려의 우잠성(牛岑城) 공략.
674년 당나라가 유인궤(劉仁軌)를 계림대총관(鷄林大總管)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州郡) 설치. 설인귀(薛仁貴)의 당군 대파.
676년 의상(義湘)이 부석사(浮石寺) 창건.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神文王) 즉위(~692). 대왕암(大王巖)에 문무왕릉 조성.
682년 신라, 국학(國學)을 개편. 687년 신라, 전국을 9주(州) 5소경(小京)으로 편성.
692년 신라, 신문왕 죽고(?~), 효소왕(孝昭王) 즉위(~702). 설총이 이두(吏讀)를 정리.
696년 발해(渤海),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이 진(震)을 건국.
702년 신라, 효소왕 죽고(?~), 성덕왕(聖德王) 즉위(~737).
713년 발해, 국호 진(震)을 발해로 고침.
719년 발해, 고왕 죽고(?~), 무왕(武王) 즉위(~737).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西域)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을 저술.
733년 신라, 당나라의 패강(浿江) 이남 영유를 승인.
737년 신라, 성덕왕 죽고(?~), 효성왕 즉위(~765). 발해, 무왕 죽고(?~), 문왕 즉위(~793).
742년 신라, 효성왕 죽고(?~), 경덕왕 즉위(~765).
751년 신라, 대상(大相) 김대성(金大成)이 불국사(佛國寺) 창건.
756년 발해, 돈화(敦化) 동모산(東牟山)에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
759년 신라 국학을 대학감(大學監)으로 개칭.
765년 신라, 경덕왕 죽고(?~), 혜공왕(惠恭王) 즉위(~780).
768년 신라, 대공(大恭)의 난 발생. 5도(五道) 주군(州郡)의 96각간(角干)이 서로 싸움. 대공 피살.
770년 신라,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鐘) 주조.
780년 신라, 김지정(金志貞)의 반란. 혜공왕과 왕후 살해됨. 김양상(金襄相)이 김지정을 죽이고 선덕왕(宣德王)으로 즉위(~785)
785년 신라, 선덕왕 죽고(?~), 원성왕(元聖王) 즉위(~799). 9주(州)의 총관(總管)을 도독(都督)으로 고침.
788년 신라, 처음으로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를 설치.
793년 발해, 문왕 죽고(?~), 대원의(大元義) 즉위(~794).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成王)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로 옮김.
795년 발해, 성왕 죽고(?~), 강왕(康王)이 즉위(~809).
798년 신라, 원성왕 `죽음(?~).
799년 신라, 소성왕(昭聖王) 즉위(~800).
800년 신라, 소성왕 죽고(?~), 애장왕(哀莊王) 즉위(~809).
801년 신라, 5묘(五廟)의 제(制)를 개정. 탐라국(耽羅國)이 사신을 보내어 조공(朝貢).
802년 신라,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 창건. 3층석탑 건립.
804년 신라, 왜국의 국사(國使) 와서 황금 3백량을 바침.
805년 신라, ‘공식(公式) 20여조(條)’를 반포.
809년 신라, 김언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788~), 헌덕왕(憲德王) 즉위(~825). 발해, 강왕 죽고(?~), 정왕(定王) 즉위(~813).
813년 발해, 정왕 죽고(?~), 희왕(僖王) 즉위(~817).
817년 발해, 희왕 죽고(?~), 간왕(簡王) 즉위(~818). 연호를 태시(太始)로 함.
818년 발해, 간왕 `죽고(?~), 선왕(宣王) 즉위(~830).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草賊)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李師道)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金憲昌)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6년 신라, 헌덕왕 죽고(?~), 흥덕왕(興德王) 즉위(~836).
828년 신라, 장보고(張保皐)가 완도에 청해진(靑海鎭)을 일으켜 대사(大使)에 임명됨.
830년 발해, 선왕 죽고(?~), 대이진(大彛震) 즉위(~858).
836년 흥덕왕 죽고(?~), 희강왕(僖康王) 즉위(~837).
838년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閔哀王) 즉위(~839). 김양(金陽)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민애왕 피살되고(?~), 신무왕(神武王) 즉위. 신무왕 죽고(?~),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閻長)에게 피살.
857년 신라, 문성왕 죽고(?~), 헌안왕(憲安王) 즉위(~861).
858년 발해, 대이진 죽고(?~), 대건황(大虔晃) 즉위(~871).
861년 신라, 헌안왕 죽고(?~), 경문왕(景文王) 즉위(~875).
871년 발해, 대건황 죽고(?~), 대현석(大玄錫) 즉위(~892).
875년 신라, 경문왕 죽고(?~), 헌강왕(憲康王) 즉위(~886).
877년 고려의 태조 탄생.
886년 신라, 헌강왕 죽고(?~), 정강왕(定康王) 즉위(~897).
889년 신라, 원종(元宗)˙애노(哀奴)의 난 일어남.
892년 견훤, 무진주(武珍州)에서 스스로 왕이 되어 후백제를 건국.
893년 발해, 대현석 죽고(?~), 대위해(大瑋E) 즉위(~906).
897년 신라, 진성여왕이 효공왕(孝恭王)에게 선위(禪位).
898년 궁예, 송악부(松岳部)로 본거를 옮김. 899년 북원(北原)의 양길이 궁예를 공격하다가 대패.
901년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고려라 일컬음.
903년 후고구려의 왕건(王建), 금성(錦城) 등 10여 성을 공략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摩震)이라 칭함.
905년 마진, 국도를 철원(鐵圓)에 옮김.
906년 마진, 왕건을 보내어 사화진(沙火鎭)에서 견훤을 대파. 발해, 대위해 죽고(?~), 대인찬 즉위(~926).
909년 마진, 왕건이 진도(珍島)˙고이도(皐夷島)를 점령,
911년 마진,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
912년 신라, 효공왕 죽고(?~), 신덕왕(神德王) 즉위(~917).
914년 태봉의 왕건, 백선장군(百船將軍)이 되어 나주에 출진(出鎭).
917년 신라, 신덕왕 죽고(?~), 경명왕(景明王) 즉위(~924).
918년 왕건이 고려(高麗)를 건국.
919년 고려, 송악(松岳)으로 천도. 3성(省) 등 관제를 정함. 평양성을 축성.
924년 신라, 경명왕 죽고(?~), 경애왕(景哀王) 즉위(~927).
926년 발해의 103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의 왕궁에 침입. 경애왕을 자살케 하고 경순왕을 세움. 견훤이 고려에 국서(國書)를 보내어 강화를 청함.
934년 고려, 운주(運州)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웅진(熊津) 이북 30여 성이 항복.
935년 후백제, 신검(神劍)이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하고 왕이 됨. 견훤이 나주(羅州)로 도망하여 고려에 항복. 경순왕(敬順王)이 고려에 투항, 신라 멸망.
936년 고려의 후삼국 통일, 태조가 일이천(一利川)에서 후백제의 신검을 대파, 신검이 항복하여 후백제 멸망.
938년 탐라국이 고려에 조공.
940년 경주(慶州)에 대도독부(大都督府) 설치. 역분전제(役分田制)를 실시.
943년 태조, 대광(大匡) 박술희(朴述熙)에게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친히 전함. 태조 죽고(877~), 혜종(惠宗) 즉위(~946).
945년 왕규(王規)의 난. 혜종 죽고(?~), 정종(定宗) 즉위(~950).
947년 광군사(光軍司)를 설치.
949년 정종이 광종(光宗)에게 선위(禪位).
956년 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 시행. 관리의 관복을 개정.
958년 처음으로 과거법을 설치. 과거제에 의학부문 포함. 승과제(僧科制) 설치.
960년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西都)라 칭함.
961년 과거를 실시. 고시과목은 시(詩)˙부(賦)˙의(醫)˙복(卜) 등.
972년 내의시랑(內議侍郞) 서희(徐熙)가 송나라에 사신으로 감.
975년 광종 죽고(925~), 경종(景宗)이 전시과(田柴科)를 제정.
981년 경종 죽고(956~), 성종(成宗) 즉위(~997).
983년 전국에 12목(牧)을 설치. 3성(省)˙6조(曹)˙7시(寺)를 정함.
987년 각 촌(村)의 대감(大監)˙제감(弟監)을 촌장(村長)˙촌정(村正)으로 개정. 노비환천법(奴婢還賤法) 제정.
991년 중추원(中樞院)을 설치.
992년 국자감(國子監)을 창립하고 전장(田莊)을 함.
993년 제1차 거란침입. 안융진(安戎鎭)에서 거란군을 격파. 서희가 소손녕(蕭孫寧)과 화약(和約)을 맺음. 개경˙서경과 12목에 상평창(常平倉)을 설치.
994년 서희, 여진(女眞)을 물리치고,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구주(龜州)에 축성.
995년 개주(開州)를 개성부(開城府)로 고치고, 전국을 10도(道)˙128주(州)˙449현(縣)˙7진(鎭)으로 나눔.
997년 성종 죽고(960~), 목종(穆宗) 즉위(~1009).
998년 서경을 호경(鎬京)으로 개칭.
1002년 6위(衛)의 군영(軍營)을 새로 설치.
1004년 과거법(科擧法)을 개정.
1007년 화산분출로 탐라 해중에 산이 생겨남.
1009년 서북면순검사(西北面巡檢使) 강조(康兆)가 목종을 폐하고(980~) 현종(顯宗)을 즉위시킴(~1031).
1010년 제2차 거란침입. 순무사(巡撫使) 양규(楊規)가 곽주(郭州)에서 거란군을 섬멸.
1011년 거란군에게 개경(開京) 함락, 현종 나주(羅州)로 파천. 양규˙정성(鄭成) 등이 거란군을 파하고 여러 성을 회복. 현종 환도.
1012년 도절도사(道節度使)를 폐지하고, 5도호부(都護府) 75목(牧) 안무사(按撫使)를 둠.
1014년 흥화진(興化鎭)에서 거란군 격퇴.
1015년 거란군이 흥화진˙통주(通州)˙용주(龍州)에 침입.
1016년 곽주에서 거란군 격퇴.
1018년 제3차 거란침입. 강감찬(姜邯贊)이 흥화령(興化嶺)에서 거란군을 대파.
1019년 구주대첩(龜州大捷).
1020년 거란과 강화.
1024년 대식국(大食國:아라비아)의 상인 100여 명이 특산물을 가지고 무역하러 옴. 개경을 확장하여 5부(部) 35방(坊)˙314리(里)로 정함.
1029년 여진 해적선 30여 척의 침범을 격퇴.
1031년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신설.
1033년 북경(北境)에 천리장성 축조를 개시.
1034년 덕종 죽고(1016~), 정종(靖宗) 즉위(~1046).
1037년 거란의 병선이 압록강에 침입.
1044년 장주(長州)˙정주(定州)˙원흥진(元興鎭)에 축성함으로써 천리장성 완성.
1046년 정종 죽고(1028), 문종(文宗) 즉위(~1083).
1049년 동번(東蕃) 해적이 임도현(臨道縣)에 침입. 동여진 해적이 금양현(金壤縣) 진명(鎭溟)에 침입. 소굴을 소탕함.
1055년 최충(崔沖)이 사학(私學)을 일으킴(12公徒).
1058년 승려 해린(海鱗)을 국사(國師)로, 난원(爛圓)을 왕사(王師)로 함. 사면기광군(四面奇光軍)을 설치.
1061년 내사령(內史令)을 중서령(中書令)으로,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으로 고침.
1062년 호경(鎬京)을 다시 서경으로 고침.
1063년 국자감의 규율과 직제를 정비 강화. 거란, ‘대장경(大藏經)’을 보내옴.
1066년 거란, 국호를 요(遼)로 고침.
1067년 의천(義天)을 우세승통(祐世僧統)으로 삼음. 흥왕사(興王寺) 준공.
1068년 양주(楊州)를 남경(南京)으로 하고 신궁을 건립. 최충(崔沖)이 구제학당(九齊學堂) 건립.
1071년 김제(金悌)를 송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국교를 회복.
1073년 동여진 15주, 서여진 2진, 여진족 12촌 등을 편입.
1076년 등과자(登科者)의 급전제(給田制)를 정함.
1080년 보병과 기병 3만으로 정주성 외곽의 여진족을 토벌함.
1083년 문종 죽고(1019~), 순종(順宗) 즉위(~1084). 순종 죽고(1047~), 선종(宣宗) 즉위(~1095).
1094년 선종 죽고(1049), 헌종(獻宗) 즉위(~1095).
1095년 중추원을 추밀원(樞密院)으로 고침. 헌종이 숙종(肅宗)에게 선위(禪位).
1097년 국청사(國淸寺) 낙성. 천태종(天台宗) 일어남.
1101년 남경개창도감(南京開創都監)을 두고, 남경 신궁(新宮) 조영 착수.
1102년 고주법(鼓鑄法)을 제정, 해동통보 1만 5천 관을 주조하여 문무양반˙군인에게 나누어줌.
1104년 윤관, 서북면행영병마도통(西北面行營兵馬都統)에 임명됨. 윤관 여진과 싸워 결맹(結盟)하고 돌아옴.
1105년 숙종 죽고(1054~), 예종(睿宗) 즉위(~1122). 탐라국을 폐하고 군(郡)으로 함.
1107년 윤관을 원수,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하여 여진토벌의 군사를 일으킴. 점령지역에 9성(城)을 쌓음.
1108년 여진토벌군이 포위되자 척준경(拓俊京)이 이를 구함. 여진이 웅주성(雄州城)을 포위공격, 오연총이 구원.
1109년 오연총이 길주를 구(救)함. 오연총이 공검진(公險鎭)에서 패전. 윤관 다시 길주를 구함. 9성을 여진에게 돌려줌. 국학(國學)에 7재(齋)를 둠.
1110년 제술(製述)˙명경(明經) 등의 과거과목을 제정.
1112년 혜민국(惠民局) 설치.
1119년 국학(國學)에 처음으로 양현고(養賢庫)를 둠.
1122년 이자겸(李資謙)이 중서령(中書令)이 되어 집권.
1128년 이자겸의 난. 궁궐을 태우고, 인종을 사가에 이어(移御)시킴. 혜민국(惠民局) 설치.
1129년 묘청(妙淸)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
1131년 노장(老莊)의 학문을 금지.
1135년 묘청의 난.
1142년 8도에 어사(御史)를 보내어 주현(州縣)의 관리를 감찰.
1145년 김부식이 《삼국사기(三國史記)》 50권을 편찬.
1147년 처음으로 승보시(陞補試) 시행.
1149년 5군(軍)을 3군으로 변경.
1155년 완산(完山)에서 농민 반란.
1162년 이천(伊川) 등지에서 대규모의 민란 발생.
1163년 남도지방에 농민반란 발생.
1164년 의종, 인지재(仁智齋)에 행차. 야반까지 유연(遊宴), 시종 정중부(鄭仲夫) 등 공분(公憤).
1168년 탐라에서 농민반란 발생.
1169년 별궁 건축을 위해 별공(別貢)을 징수.
1170년 정중부의 난.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明宗)을 세움.
1171년 궁궐에 불이 나서 전우(殿宇) 모두 불탐.
1172년 정중부,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됨. 서북면에서 민란 발생.
1173년 계사(癸巳)의 난, 동북병마사 김보당(金甫當)이 난을 일으킴. 문신 축출, 무인(武人) 임용.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의 난. 서북방 40여 성이 호응. 정중부,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됨.
1175년 관군, 연주(漣州)를 함락, 서경을 포위.
1176년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의 난. 남부지방에 민란 성행. 대규모 관군 조직.
1177년 망이˙망소이의 난을 평정.
1179년 경대승(慶大升), 정중부를 죽이고 반대파를 처형. 도방(都房)을 설치.
1180년 무신(武臣)들이 사병(私兵)을 두기 시작.
1184년 이의민(李義旼)이 정권 장악.
1193년 김사미(金沙彌)의 난.
1196년 최씨무신정권(崔氏武臣政權) 성립.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李義旼)을 멸하고 정권을 장악
1197년 최충헌, 명종을 폐하고, 신종(神宗)을 세움(~1204).
1198년 만적(萬積)의 난.
1200년 최충헌, 사저에 도방(都房) 설치.
1202년 탐라민란 평정. 경주˙운문˙울진 등이 연합하여 민란을 일으켜 주군(州郡)을 장악.
1206년 최충헌을 진강후(晉康侯)에 봉하고, 부(府)를 흥녕(興寧)이라 함.
1209년 희종(熙宗), 최충헌의 집으로 옮겨갔다가 연경궁(延慶宮)으로 돌아옴. 최충헌, 교정도감(敎定都監) 설치.
1211년 최충헌이 희종을 폐하고 강종(康宗)을 세움(~1213).
1216년 몽골군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寧朔鎭)˙정계진(定戒鎭)에 침입하여 재물을 약탈. 거란병, 황주를 침공.
1217년 5군(軍), 태조탄(太祖灘)에서 거란병에게 대패.
1218년 거란병 재침. 조충 등이 거란병을 강동성(江東城)으로 패주시킴.
1219년 조충˙김취려(金就礪), 몽골 및 동진(東眞)과 함께 강동성을 공략. 최충헌 죽고, 아들 최우(崔瑀) 집권.
1222년 몽골에 대비하여 선주(宣州)˙화주(和州)˙철관(鐵關)에 축성.
1223년 처음으로 융기도감(戎器都監)을 둠. 금주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퇴.
1225년 최우, 정방정치(政房政治) 시작(~1249).
1226년 경상도 거제(巨濟)에 침입한 왜구를 현령 진용갑(陳龍甲)이 격파.
1227년 경상도 웅신현(熊神縣)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왜국이 국서를 보내어 사죄하고 수호통상을 청함.
1228년 동진(東眞), 정주(定州)˙장주(長州)에 침입.
1231년 제1차 몽골군 침입. 살리타[撒禮塔]를 원수로 삼아 평주(平州)를 치고 개경에 육박.
1232년 강화도(江華島) 천도. 다루가치[達魯花赤]를 축출. 김윤후(金允侯)가 지휘하는 부곡민이 처인성(處仁城)에서 항전. 살리타를 사살.
1233년 필현보(畢賢甫)˙홍복원(洪福源) 등이 모반. 필현보는 처형되고, 홍복원은 요양(遼陽)으로 달아나 반고려세력을 형성.
1234년 최윤의(崔允儀)의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주자(鑄字)로 인행(印行).
1235년 몽골군, 용강(龍岡)˙삼등(三登)˙용진진(龍津鎭)˙동주성(洞州城) 등을 함락, 동경(東京)까지 침입. 야별초군(夜別抄軍)이 지평(砥平)에서 몽골군 격파.
1236년 개천(价川)˙죽주(竹州)에서 몽골군을 크게 격파. 이규보(李奎報),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지음. 이연년(李延年)의 난을, 김경손(金慶孫)이 평정. 강도(江都)에서 대장경의 재조(再雕) 시작.
1238년 몽골군에 의해 동경의 황룡사탑˙황룡사장륙상(皇龍寺丈六像)이 불탐. 조현습(趙玄習) 등이 몽골에 투항, 홍복원의 지휘를 받음.
1239년 몽골군 철수. 몽골 사신이 와서 왕의 친조(親朝)를 조유(詔諭).
1241년 족자(族子) 영녕공(永寧公)을 왕자(王子)라 칭하고 몽골에 보내어 볼모[禿魯花]로 삼음.
1247년 아모간(阿母侃)이 지휘, 제4차 몽골군 침입.
1249년 몽골, 고려왕의 출륙친조(出陸親朝)를 강요. 별초군, 동계(東界)에 침입한 동진군을 격파. 최우 죽고, 최항(崔沆)이 정권 장악.
1253년 야굴(也窟)의 몽골군이 제5차 침입. 고종 출륙하여 승천(昇天) 신궐(新闕)에서 야굴의 사자와 회견.
1254년 차라대(車羅大) 제6차 몽골군 침입.
1255년 차라대 제7차 몽골군 침입
1256년 수군을 남하시켜 몽골군을 막게 함. 몽골의 차라대(車羅大), 고려왕자의 몽골방문 요청. 차라대 철군.
1257년 최항 죽고, 최의(崔誼) 집권. 차라대의 제8차 몽골군 침입.
1258년 최씨무신정권 붕괴. 충주의 별초군이 박달령서 몽골군 격퇴.
1259년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 몽골군 대파. 한계성(寒溪城)에서 몽골군 격멸. 고종 죽고(1192~), 태자 전(k) 몽골로 감.
1261년 몽골, 요양(遼陽)의 고성(故城) 수리,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摠管府)를 둠. 동서학당(東西學堂)교역장 설치.
1269년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安慶公) 창(I)을 세웠으나 반년 만에 원종이 복위.
1270년 강화에서 환도. 삼별초군(三別抄軍)의 항몽전(抗蒙戰). 삼별초군의 해산명령에 배중손(裵仲孫) 등이 항쟁 시작.
1271년 삼별초군, 합포(合浦)˙동래(東萊)를 공격, 금주(金州)를 점령. 세자 심(諶)을 몽골에 보냄.
1272년 세자 심이 변발(辨髮)과 호복(胡服)으로 돌아옴.
1273년 김방경(金方慶)이 원군(元軍)과 함께 탐라의 삼별초군을 공략. 탐라에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摠管府]를 둠.
1274년 원(元)이 전함 300척을 만들게 함. 제1차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 일본정벌 실패.
1278년 충렬왕, 원의 관리와 원군의 철수 및 고려인 송환을 요구.
1280년 일본 정벌을 위해 정동행성(征東行省)을 둠.
1281년 제2차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 실패.
1285년 일연(一然)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술.
1287년 이승휴(李丞休) 《제왕운기(帝王韻紀)》 저술.
1290년 충렬왕, 강화로 피란. 국사˙문적(文籍) 강화로 옮김.
1291년 원의 군대와 함께 합단군을 연기(燕岐)에서 격파. 상서성(尙書省) 폐지, 다시 중서성(中書省)을 둠.
1292년 개경으로 환도.
1294년 원나라 세조(世祖) 죽고, 동방정벌 중지. 탐라에서 원나라 철수.
1295년 탐라를 제주(濟州)로 고침.
1298년 충렬왕 태상왕(太上王)이 되고, 충선왕(忠宣王) 즉위.
1308년 원이 충선왕을 심양왕(瀋陽王)에 봉함. 충렬왕 죽고(1236~), 충선왕 다시 복위. 서운관(書雲觀) 창설.
1309년 각염법 제정.
1310년 원에서 충선왕을 심왕(瀋王)에 봉함.
1313년 충선왕, 충숙왕에게 전위(傳位), 조카 연안군(延安君) 호를 심양왕(충선왕)의 세자로 함.
1316년 상왕(上王), 심왕의 위(位)를 세자 호에게 전하고 태위왕(太尉王)이라 칭함.
1318년 윤번(輪番)으로 근무하던 진변별초제도(鎭邊別抄制度)를 복구.
1320년 정방(政房)을 다시 설치, 관리임명을 담당. 원, 상왕 충선왕을 토번(吐蕃)으로 귀양보냄.
1323년 왜구 추자도(楸子島)에서 만행, 군산 앞바다에서 조운선을 약탈.
1325년 상왕 충선왕 원에서 죽음(1275~).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1332년 상왕 충숙왕 복위하고, 충혜왕은 원나라로 감.
1340년 충혜왕 복위. 원나라의 문제, 고려인 기씨(奇氏)를 제3황후에 봉함.
1342년 이제현(李齊賢) 《역옹패설》을 지음.
1343년 원, 충혜왕을 게양(揭陽)에 귀양.
1344년 충혜왕 악양(岳陽)에서 죽고(1315~) ,충목왕(忠穆王) 원나라에서 즉위(~1348). 숭문관(崇文館) 설치.
1347년 정치도감(整治都監) 설치. 각도의 양전(量田)사업 시작.
1349년 충정왕(忠定王) 즉위(~1351). 정치도감 폐지. 경순부(慶順府) 설치.
1350년 합포천호(合浦千戶) 최선(崔禪) 등이 고성˙거제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
1352년 충정왕 강화에서 죽음(1337~). 변발(辨髮)을 금지. 안흥˙서산˙강화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
1356년 원나라 연호 사용을 중지. 쌍성총관부 회복.
1358년 최영(崔瑩)이 왜구체복사(倭寇體覆使)가 됨.
1359년 홍건적(紅巾賊)의 제1차 침입. 4만여명이 압록강을 건너, 서경 함락.
1360년 각군 홍건적 무찌르고 서경수복. 강화에 왜구 침입.
1361년 홍건적 10만으로 제2차 침입. 개경 함락, 공민왕 복주(福州)로 파천. 이성계(李成桂), 홍건적을 대파.
1363년 문익점(文益漸), 원나라에서 목화씨 가지고 옴.
1366년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 신돈(辛旽)을 판사(判事)로 함.
1369년 이성계를 보내 동녕부 공격, 원(元)나라와 절교.
1370년 명나라의 연호 사용.
1374년 공민왕 피살되고(1330~), 우왕(禑王) 즉위(~1389).
1377년 최무선(崔茂宣), 화통도감 설치.
1378년 최영˙이성계, 왜구를 승천부(昇天府)에서 대파.
1387년 왜구를 막기 위해 기선군(騎船軍)을 편성.
1388년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 이성계, 우왕을 폐하고 창왕(昌王)을 세움.
1389년 박위, 대마도(對馬島) 정벌. 왜선 300여 척 격파. 창왕 폐위되고 공양왕(恭讓王) 즉위.
1391년 이성계, 삼군도총제사(三軍都摠制使)가 되어 군사통수권을 장악.
1392년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 최종수정일 :
2005.06.19 <09:47>
'정치,경제,국제 > 역사,전통,민속,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보 1호 ~ 100호 까지] (0) | 2006.12.11 |
---|---|
[스크랩] 미아리 달동네가 사라지고 있다 (0) | 2006.12.08 |
[스크랩] 조선 朝鮮 (0) | 2006.12.07 |
[스크랩] 1950년대 서울모습 (0) | 2006.12.07 |
[스크랩] 6.25 사진 (0) | 2006.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