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취미/스포츠(당구)
[스크랩] 당구의 타법(입사각 반사각)
진진바라바라
2008. 1. 16. 16:24
당구의 타법 |
|
|
1.밀어치기 ( Follow Shot ) : |
밀어치기라는 것은 수구를 제1목적구에 맞혀서 그 목적구를 밀 |
|
|
어 내고 수구를 제2목적구로 향하게 하는 타구법을 일컫는다. |
|
[ 1.겨냥법 ] |
|
|
|
 |
|
겨냥점은 제1목적구와 제2목적구의 중심선을 연결한 선(b), |
|
|
수구와 제1목적구의 중심을 연결한선의 연장선(a), |
|
|
그리고 이 두선을 이등분한 선이 제1목적구의 바깥부분과 교차하는 점. |
|
|
 |
|
[ 2.수구와 목적구가 근접해 있을때 ] |
|
|
|
 |
|
 |
|
|
초보자의 경우 수구와 제1목적구가 겹치는 부분이 1/2이상 되게 하는 밀어치기에서 수구를 두번 이상 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
|
|
|
|
|
|
|
|
[ 3.기본도형 ] |
|
|
|

|
|
 |
|
|
제1,2목적구가 직선에 가까운 상태 로 늘어서 있을 경우에는 제1목적 구가 제2목적구를 피해나가지 못하 고 제2목적구에 맞아버리기 때문에 밀어치기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 다. |
|
|
|
|
|
|
|
[ 4.각도에 따른 밀어치기 연습 ] |
|
[ 5.역회전을 이용한 밀어치기 ] |
|

|
|
|
|
|
목적구가 멀리 있을 경우에는 수구의 중심 아래를 쳐 역회전에서 전진 회전으로 바뀌게 해 목적구를 맞추면 보다 정확하게 밀어치기를 할 수 있다.
목적구가 수구에서 먼 경우도 처음에는 상단치기로 연습하고 익숙해지면 중심 아래를 겨냥하는 밀어치기로 연습한다.
|
|
1.끌어치기 ( Draw Shot ) : |
끌어치기는 수구 중심 아래를 쳐서 공이 역회전하면서 앞으로 |
|
|
진행 하는도중에 제1목적구를 맞고 수구가 제2목적구를 향해 |
|
|
되돌아 와서 맞는 타구법이다. |
|
[ 1.겨냥법 ] |
|
|
|
 |
|
수구와 제2목적구를 연결한 선에서 그 중간점을 찾은 다음, |
|
|
그 중간점과 제1목적구의 끝이 접하는 지점이 겨냥점이다. |
|
|
 |
|
[ 2.기본 형태 ] |
|
|
|
|
|
 |
|
 |
|
끌어치기를 할 때는 브리지를 낮게 하고 부드럽고 경쾌한 스트 |
록을 이용하여 치도록 한다. |
|
끌어치기의 기본은 수구의 중심 아래를 쳐서 목적구의 중심을 |
맞춘 후, 수구가 똑바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것이다. |
우선은 목적구 1개만 놓고 수구가 정확히 되돌아오도록 연습한 |
다. |
|
목적구와 수구가 지나치게 가까이 있으면 칠 수가 없으므로 ( |
두번 치기가 되기 쉽다. )치기 쉽게 떼어 놓는다. |
|
| |
|
|
|
|
[ 3.형태에 따른 당점의 위치 ] |
|
 |
|
 |
|
이 도면은 보는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당구대를 이용하여 |
구역을 표시하여 보았다. |
|
제1목적구의 위치에 따라 구역은 달라진다. |
수구의 중심을 겨냥해서 상단 구역( 밀어치기 )으로 공을 보낼 |
수는 있으나 상단을 겨냥해서 중심 구역으로 수구를 보낼 수는 |
없다. |
|
앞에서 설명한 수구의 회전 운동을 이해했다면 쉽게 이해 할 |
수 있을 것이다. |
|
| |
|
|
|
|
1.입사각과 반사각: |
쿠션을 똑바로 쳤을 ? 공은 당연히 같은 코스로 되돌아온다. |
|
|
이것은 공의 운동방향에 대한 중심 축이 쿠션에 맞고 나서도 변하지 |
|
|
않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입사각과 반사각의 기본 형태 ] |
수구가 쿠션을 향해 가는 각도를 입사각이라 하고, 쿠션을 맞 |
고 돌아나오는 각을 반사각이라 한다. |
|
수구에 회전을 주어 샷을 했을 때 반사각은 변하게 되지만 회 |
전을 주지 않고 샷을 했을 경우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게 된다. |
쿠션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원리이다. |
|
| |
|
|
|
|
<1>입사각과 반사각의 변화요인 |
|
 |
 |
|
[ 힘의 강약과 상.중.하 당점에 따른 반사각의 변화 ] |
힘조절은 반사각 변화의 중대한 요소이다. |
|
쿠션은 탄력이 있는 고무로 되어 있어 그 탄력을 적절히 이용 |
하면 원하는 수구의 진로를 얻을 수 있다. |
당점을 상단에 주었을 때도 반사각이 변하게 된다. |
|
A, C, E : 강하게 or 하단 당점 |
B, D, F : 약하게 or 상단 당점 |
1, 2, 3 : 보통의 힘으로 중심 당점 |
|
| |
|
|
|
|
|
|
|
|
|
|
 |
|
 |
|
[ 좌우 당점 변화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변화 ] |
공을 쿠션을 향하여 쳤을 경우 입사각에 대한 반사각은 |
<1>힘조절 |
<2>당점 |
<3>회전을 거는 방법( 타법 ) |
등에 따라 달라진다. |
|
옆의 그림은 좌.우 회전에 따른 수구의 반사각 진로이다. |
셀수 없을 만큼 다양한 반사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 |
1.입사각과 반사각: |
쿠션을 똑바로 쳤을 ? 공은 당연히 같은 코스로 되돌아온다. |
|
|
이것은 공의 운동방향에 대한 중심 축이 쿠션에 맞고 나서도 변하지 |
|
|
않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쿠션과 당점과의 관계 ] |
수구의 시계 당점에 따른 반사각 변화이다. |
수구의 당점을 0시~3시 방향으로 샷을 했을 경우 이에 대한 |
각각의 반사각 형태이다. |
수구는 각각 1포인트 차이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
|
정확한 당점이 가장 중요하다. |
|
| |
|
|
|
|
|
|
|
|
|
|
 |
|
 |
|
[ 하단을 쳤을 경우 수구의 반사각 ] |
수구의 중심 아래 당점을 겨냥하여, 보통의 힘으로 수구를 |
가격하면 반사각은 커브를 그리며 안쪽으로 휘어진다. |
안쪽으로 휘어지는 커브의 각도는 힘조절과 타법등의 영향 |
을 받아 달라지게 된다. |
이와 같은 선의 개념은 다소 생소할 수도 있으나 그리 어렵 |
지만은 않다. |
|
A : 정상적인 입사 반사각의 진로 |
B : 하단 당점을 가격했을 때의 반사각의 진로 |
|
|
.입사각과 반사각의 계산법 |
|
(1)쿠션과의 거리를 이용한 방법 |
|
|
|
|
|
|
|
 |
|
 |
|
[ 쿠션으로부터 수구와 목적구가 이리직선상에 위치 ] |
수구와 목적구가 쿠션으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목적구가 서로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직접치기가 불가능하다. |
|
| |
|
|
|
|
|
|
|
|
|
|
 |
|
 |
|
[ 쿠션으로부터 수구와목적구의 위치가 다를때 ] |
목적구에서 쿠션까지 선을 긋고 수구에서 쿠션까지 선을 그은 다음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교차점을 찾는다.교차점에서 쿠션을 향해 수직선을 그어 교차점을 찾는다. |
|
|
|
|
|
|
|
|
|
|
|
|
|
(2)포인트를 이용한 입사각과 반사각 |
|
 |
|
 |
|
당구대 틀 위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수구와 목적구의 진로를찾는 방법으로 수구와 목적구가 쿠션에 많이 떨어진 경우에이용한다.공의 진로와 도착은 당구대 틀 위의 포인트를 기준으로 함을 명심해야 한다. |
|
|
|
|
| |
출처 : 빌리우스당구동호회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