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설비 기술

[스크랩] PSD 시스템

진진바라바라 2015. 4. 3. 11:18
 

서  론 

  현재 우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수와 한정된 국토의 도로율로 인하여 최악의 교통 혼잡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구의 환경 보호 차원에서 CFC 배출 원인 중 하나인 화석 연료의 사용 금지 등으로 인하여 무한정 자동차의 증가는 현시점에서 매우 불투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대량의 인구 수송 수단으로 획기적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도심과 도심을 지하 공간으로 연결하는 ‘지하철’이다. 

서울의 경우 지하철 인구 수송 분담률이 약40%에 달하며 시민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하철은 정시성, 쾌속성, 안전성 측면에서 지상 교통수단보다 우수하고 대량 수송이 가능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이 높고, 지상 교통의 통행 속도를 향상 시키며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해 주는 등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P.S.D System의 정의 

   PSD System이란, ‘Platform Screen Door’의 약어로서 지하철 역사(驛舍)의 승강장에 설치하는 System이다. 

이는 지하철이 역내로 진입할 때 동반되는 열차풍이나 부유 분진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승강장에 대기 중인 승객들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지하 생활공간 환경을 제공해 준다. 

지하철 환기 방식의 종류 

자연 환기 방식    

자연 환기 방식은 열차의 진행 방향에 따른 Piston 효과를 이용하여 환기하는 방식이다. 

기계 환기 방식    

기계 환기 방식은 열차의 진행 방향과 상관없이 강제 급·배기 FAN을 이용하여 환기하는 강제 환기    방식이다. 

터널 환기 방식의 종류 

단선 구간 환기 방식   

단선 구간 환기 방식은 그림과 같이 FAN을 이용하여 환기 시키는 강제 환기 방식과 열차의 진행에    따른 Piston 효과를 이용하는 자연 환기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 환기 방식은 열차의 진행 방   향으로 앞부분은 배기 시키고 뒷부분은 급기 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복선 구간 환기 방식    

복선 구간의 환기 방식은 그림과 같이 FAN을 이용하여 중앙에는 강제 급기 시키고, 양단에서 강제    배기 시키는 방법과 중앙에서 강제 배기 시키고 양단에서 자연 급기 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P.S.D System의 설치 방법 

역사 전방 설치 방법     

이 방법은 지하철이 역내에 진입시 역사의 전방 출입문에 P.S.D 설비를 설치하는 시스템으로 열차의   진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열차풍 및 부유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이 역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 부하 등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승강장 설치 방법     

이 방법은 지하철 승강장에 P.S.D 설비를 설치하는 시스템으로 열차가 역내로 진입함과 동시에 승객   들이 대기하는 승강장의 앞면으로 P.S.D 설비를 설치하여 열차풍 및 부유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승강   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P.S.D System의 설치 시 유의 사항 

내구성    

지하철역은 지하역과 지상 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지상역의 경우 기상의 악조건 즉 강풍과 태풍 등   기상 이변 시 P.S.D 설비의 파손 방지 등 내구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신뢰성 및 정확성     

열차의 진입과 동시에 P.S.D 설비의 작동 시점을 감지하는 각종 Sensor의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효율성     

P.S.D System의 설치 시 열차풍의 방지 및 부유 분진 등의 유입방지 등 지하 생활공간 공기 질 기준   치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치가 필요하다. 

안전성    

각종 기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안전사고 시 승객들의 안전은 물론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시스템의 검토가 필요하다. 

P.S.D System의 설치 효과 

쾌적성 

- 하절기에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유입과 동절기의 차고 건조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승객들의 불쾌     감을 줄여 쾌적하고 안락한 지하 생활공간을 제공 할 수 있다. 

- TSP, SOX, NOX, HCHO 등 지하 생활공간 공기 질 관리법에서 제시하는 부유 분진 등의 유입을     기준치 이하로 유지 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 열차풍의 유입 방지로 냉난방 부하의 절감 효과를 기할 수 있으며 열차 발열의 실내 확산 방지에      기여 할 수 있다. 

- 승강장에 미치는 열차풍과 선로 부하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부유 분진 등의 유입 방지로 인한 승강장 내의 환기 횟수를 줄여 환기 부하의 절감을 기할 수  

   있다. 

지하 생활공간 공기 질 관리법 

  지하 역사, 지하도 상가 등 지하 시설의 생활에 대한 공기 질 기준이 지하 생활공간 공기 질 관리법    및 시행 규칙으로 제정(1998. 1. 26) 되었다. 

항          목

기        준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이산화탄소(CO2)

포롬알데히드(HCHO)

납(Pb)

  1시간 평균치 0.25ppm 이하

  1시간 평균치 25ppm 이하

  1사간 평균치 0.15ppm 이하

24시간 평균치 150μg/m3이하

  1시간 평균치 1,000ppm 이하

24시간 평균치 0.1ppm 이하

24시간 평균치 3μg/m3이하

* 비고 : 지하공기질 기준 중 미세먼지(PM-10)에 대해서는 1999년 12월31일까지는 '24시간

        평균치 250μg/m3이하'를 적용하고, 2000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는            '24시간 평균치 200μg/m3이하'를 적용한다.

결 론

  승객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위해 지하 생활공간 공기 질 관리 법안이 제정 공포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설치하는 P.S.D System 설치 시 효율성과 신뢰성 및 성능 확보를 위한 세부 시방과 검증 절차를 정하고 엄격히 준수하여야 하며 필요시 시스템에 대한 공인 기관 시험을 거치도록 한다.

또한 발주자, 전문업체, 학계 등이 공동으로 설치 전후의 효과와 성능에 대하여 연구 조사해 개선 발전의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설비 측면에서는 방재 시스템 및 에너지 절약을 염두에 두고 설치해야 하며 또한 공조 계획 및 환기 계획을 철저히 검토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출처 : 삶의 여백 속에서
글쓴이 : 태백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