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경제,국제/역사,전통,민속,세계사
[스크랩] 조선왕조(518년)를 좀 더 가까이..
진진바라바라
2006. 12. 11. 18:02
- 조선왕조 500년 27대조의 평균 수명은 35세
- 최단명왕 ; 단종으로 17세
- 최장수왕/최장수 재위왕 ; 영조로 83세 및 51년간 재위
- 최단명왕 ; 12대 인종으로 9개월간
- 현명한 왕 ; 22대인 영조
- 폭군 ; 10대인 연산군
- 무자녀 왕 ; 단종,인종,경종,순종
- 무왕자 왕 ; 현종,철종(딸만 1명씩)
- 최대자녀 보유 ; 3대 태종으로 부인 12명에 자녀 29명
9대 성종은 부인 12명에 자녀 28명
- 27대조 분석(재위기간, 부인, 자녀 수, 수명,
* 1대 태조 ; 6년 2개월(1392-), 부인 3명, 13명(8남 5녀), 74세(1335 - 1408)
* 2대 정종 ; 2년 2개월, 부인 8명, 23명(15남 8년), 63세(1357 - 1419)
* 3대 태종 ; 17년 10개월, 부인 12명, 29명(12남 17녀), 56세(1367 - 1422)
* 4대 세종 ; 31년 6개월, 부인 6명, 22명(18남 4녀), 54세(1397 - 1450)
4녀는 공주 2 + 옹주 2(후궁의 딸)
* 5대 문종 ; 2년 3개월, 부인 3명, 자녀 3(1남 2녀), 39세(1414 - 1452)
* 6대 단종 ; 3년 2개월, 부인 1명, 자녀 0, 17세(1441 - 1457)
* 7대 세조 ; 13년 3개월, 부인 2명, 자녀 5명(4남 1녀), 52세(1417 - 1468)
* 8대 예종 ; 1년 2개월, 부인 2명, 자녀 3명(2남 1녀), 20세(1450 - 1469)
* 9대 성종 ; 25년 1개월, 부인 12명, 자녀 28명(16남 12녀), 38세(1457 - 1494)
* 10대 연산군 ; 12년, 부인 2명, 자녀 6명(4남 2녀), 31세(1476 - 1506)
* 11대 중종 ; 38년 2개월, 부인 10명, 자녀 19명(10남 9녀), 57세(1488 - 1544)
* 12대 인종 ; 9개월, 부인 2명, 자녀 0, 31세(1515 - 1545)
* 13대 명종 ; 22년, 부인 1명, 자녀 1(1남), 34세(1534 - 1567)
* 14대 선조 ; 40년 7개월, 부인 8명, 자녀 25명(14남 11녀), 57세(1552 - 1608)
* 15대 광해군 ; 15년 1개월, 부인 2명, 자녀 2명(1남 1녀), 67세(1575 - 1641)
* 16대 인조 ; 26년 2개월, 부인 3명, 자녀 7명(6남 1녀), 55세(1595 - 1649)
* 17대 효종 ; 10년, 부인 2명, 자녀 8명(1남 7녀), 41세(1619 - 1659)
* 18대 현종 ; 15년 3개월, 부인 1명, 자녀 4명(1남 3녀), 34세(1641 - 1647)
* 19대 숙종 ; 45년 10개월, 부인 6명, 자녀 9명(3남 6녀), 60세(1661 - 1720)
* 20대 경종 ; 4년 2개월, 부인 2명, 자녀 0, 57세(1668 - 1724)
* 21대 영조 ; 51년 7개월, 부인 6명, 자녀 9명(2남 7녀), 83세(1694 - 1776)
* 22대 정조 ; 24년 3개월, 부인 3명, 자녀 3명(2남 1녀), 49세(1752 - 1800)
* 23대 순조 ; 34년 7개월, 부인 3명, 자녀 6명(1남 5녀), 45세(1790 - 1834)
* 24대 헌종 ; 14년 7개월, 부인 3명, 자녀 1(녀 1), 23세(1827 - 1849)
* 25대 철종 ; 14년 6개월, 부인 8명, 자녀 1명(녀 1), 33세(1831 - 1863)
* 26대 고종 ; 43년 7개월, 부인 7명, 자녀 7명(6남 1녀), 68세(1852 - 1919)
* 27대 순종 ; 3년 1개월(1907.7-1910.8), 부인 2명, 자녀 0, 53세(1874 - 1926)
* 보통 조는 공(功)이 탁월한 왕에게 붙이게 됩니다.
즉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커다란 업적이 있는 왕이 조가 되고,
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덕(德)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하게 한 왕은 종으로 부름.
* 그러면 조나 종의 명칭(묘호)는 누가, 어떻게 정하게 되는 것일까 ?
묘호는신료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해 정했다고 하는데,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정한 묘호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지요. 예를 들면 선조의 경우, 처음 묘호가 선종이었으나
국난(임진왜란) 극복 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신하들이 주장해 선조로 바꿨다고 하지요.
* 그런데 왜 광해군과 연산군은 왕이었으면서도 조나 종이 아닌 군(君)의호칭이 붙었을까 ?
군이라는 것은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나 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었으나,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 재위기간 중 국가와 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 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군으로 봉해진 것입니다.
- 최단명왕 ; 단종으로 17세
- 최장수왕/최장수 재위왕 ; 영조로 83세 및 51년간 재위
- 최단명왕 ; 12대 인종으로 9개월간
- 현명한 왕 ; 22대인 영조
- 폭군 ; 10대인 연산군
- 무자녀 왕 ; 단종,인종,경종,순종
- 무왕자 왕 ; 현종,철종(딸만 1명씩)
- 최대자녀 보유 ; 3대 태종으로 부인 12명에 자녀 29명
9대 성종은 부인 12명에 자녀 28명
- 27대조 분석(재위기간, 부인, 자녀 수, 수명,
* 1대 태조 ; 6년 2개월(1392-), 부인 3명, 13명(8남 5녀), 74세(1335 - 1408)
* 2대 정종 ; 2년 2개월, 부인 8명, 23명(15남 8년), 63세(1357 - 1419)
* 3대 태종 ; 17년 10개월, 부인 12명, 29명(12남 17녀), 56세(1367 - 1422)
* 4대 세종 ; 31년 6개월, 부인 6명, 22명(18남 4녀), 54세(1397 - 1450)
4녀는 공주 2 + 옹주 2(후궁의 딸)
* 5대 문종 ; 2년 3개월, 부인 3명, 자녀 3(1남 2녀), 39세(1414 - 1452)
* 6대 단종 ; 3년 2개월, 부인 1명, 자녀 0, 17세(1441 - 1457)
* 7대 세조 ; 13년 3개월, 부인 2명, 자녀 5명(4남 1녀), 52세(1417 - 1468)
* 8대 예종 ; 1년 2개월, 부인 2명, 자녀 3명(2남 1녀), 20세(1450 - 1469)
* 9대 성종 ; 25년 1개월, 부인 12명, 자녀 28명(16남 12녀), 38세(1457 - 1494)
* 10대 연산군 ; 12년, 부인 2명, 자녀 6명(4남 2녀), 31세(1476 - 1506)
* 11대 중종 ; 38년 2개월, 부인 10명, 자녀 19명(10남 9녀), 57세(1488 - 1544)
* 12대 인종 ; 9개월, 부인 2명, 자녀 0, 31세(1515 - 1545)
* 13대 명종 ; 22년, 부인 1명, 자녀 1(1남), 34세(1534 - 1567)
* 14대 선조 ; 40년 7개월, 부인 8명, 자녀 25명(14남 11녀), 57세(1552 - 1608)
* 15대 광해군 ; 15년 1개월, 부인 2명, 자녀 2명(1남 1녀), 67세(1575 - 1641)
* 16대 인조 ; 26년 2개월, 부인 3명, 자녀 7명(6남 1녀), 55세(1595 - 1649)
* 17대 효종 ; 10년, 부인 2명, 자녀 8명(1남 7녀), 41세(1619 - 1659)
* 18대 현종 ; 15년 3개월, 부인 1명, 자녀 4명(1남 3녀), 34세(1641 - 1647)
* 19대 숙종 ; 45년 10개월, 부인 6명, 자녀 9명(3남 6녀), 60세(1661 - 1720)
* 20대 경종 ; 4년 2개월, 부인 2명, 자녀 0, 57세(1668 - 1724)
* 21대 영조 ; 51년 7개월, 부인 6명, 자녀 9명(2남 7녀), 83세(1694 - 1776)
* 22대 정조 ; 24년 3개월, 부인 3명, 자녀 3명(2남 1녀), 49세(1752 - 1800)
* 23대 순조 ; 34년 7개월, 부인 3명, 자녀 6명(1남 5녀), 45세(1790 - 1834)
* 24대 헌종 ; 14년 7개월, 부인 3명, 자녀 1(녀 1), 23세(1827 - 1849)
* 25대 철종 ; 14년 6개월, 부인 8명, 자녀 1명(녀 1), 33세(1831 - 1863)
* 26대 고종 ; 43년 7개월, 부인 7명, 자녀 7명(6남 1녀), 68세(1852 - 1919)
* 27대 순종 ; 3년 1개월(1907.7-1910.8), 부인 2명, 자녀 0, 53세(1874 - 1926)
* 보통 조는 공(功)이 탁월한 왕에게 붙이게 됩니다.
즉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커다란 업적이 있는 왕이 조가 되고,
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덕(德)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문물을 융성하게 한 왕은 종으로 부름.
* 그러면 조나 종의 명칭(묘호)는 누가, 어떻게 정하게 되는 것일까 ?
묘호는신료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해 정했다고 하는데,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정한 묘호를
바꾸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지요. 예를 들면 선조의 경우, 처음 묘호가 선종이었으나
국난(임진왜란) 극복 등 커다란 공이 있다고 일부신하들이 주장해 선조로 바꿨다고 하지요.
* 그런데 왜 광해군과 연산군은 왕이었으면서도 조나 종이 아닌 군(君)의호칭이 붙었을까 ?
군이라는 것은 원래 왕자들이나 왕의 형제, 또는 종친부나 공신에게 주어지던 호칭이었으나,
광해군과 연산군의 경우는 재위기간 중 국가와 민생에 커다란 해를 끼친 폭군으로서
폐위되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접하지 않고 군으로 봉해진 것입니다.
출처 : 따뜻한 집
글쓴이 : 캄캉 원글보기
메모 :